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COVID variants

 DNA는 이중 나선형태로 안정된 상태지만 코로나 바이러스는 한 가닥의 RNA만 있기 때문에 유전자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WHO는 특정 지역, 사람 등에 대한 두려움을 일으키지 않도록 국가명이 변이 바이러스 이름을 없애고 그리스 문자인 알파, 감마 등으로 쓰고 있습니다. 

Unlike DNA with stable double helix structure, the coronavirus has only one strand of RNA, which is vulnerable to genetic mutation. WHO has replaced the viruses classifications named after regions with Greek letters such as alpha and gamma to eliminate the fear of specific region or person.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종류

- 영국 변이- 알파

- 남아공 변이-  베타 

- 브라질 변이- 감마 

- 인도 변이- 델타 








Types of COVID variants

- UK variant- alpha

- South African variant- beta

- Brazilian variant- gamma

- Indian variant- delta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강하고 백신에 대한 저항도 크기 때문에 위험성이 더 높습니다. 전 세계 감염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우점종 변이 바이러스인 알파형은 백신 효과가 높습니다. 현재 주목되고 있는 델타형은 가장 감염 전파력이 높으며 어느 정도의 백신 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타와 감마는 전파력은 높지는 않지만 강한 백신 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The COVID variants have higher transmission power and immunity against the vaccines, hence are more dangerous than the existing viruses. The vaccines are known to be quite effective on the alpha variant, the dominant variant around the world. The recent worrisome variant, the delta variant, is the most contagious and has some immunity against the vaccines. The beta and gamma variants are not highly contagious, but have strong immunity against the vaccines.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곧 세계적으로 우세종이 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화이자는 약 88%, 아스트라제네카 (AZ)는 60%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아무리 백신을 맞았다고 해서 방심하기는 이르며 마스크는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The delta variant virus is soon expected to become the dominant variant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the quarantine authorities, the Pfizer vaccine has around 88% and AstraZeneca (AZ) vaccine 60% effectiveness against the delta variant. Hence, although vaccinated, it is still essential to wear masks and take precautions.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핵의학 심장 검사 Nuclear Medicine Heart Test

핵의학 심장 검사 (Nuclear Medicine Heart Test) 1. 방사성동위원소 심혈관 촬영술/ 일회 통과 스캔 (Radionuclide Angiocardiography/ Shunt Study/Single-pass Radionuclide Angiography) - 목적: 심장 내 단락의 유무와 단락량 측정  - Purpose: To see presence of shunt in heart - 1회의 순간주사로 순환관계를 순환하는 동안 흐름 영상을 획득 - Captures images of a full circulation through dynamic imaging - 99mTc04-, 99mTc-DTPA 2. 게이트 심장혈액 풀 신티그라피 (MUGA; Cardiac Gated Blood Pool (GBP) Scintigraphy) - 목적: 좌심실의 기능평가, 심실의 국소벽 운동 평가 - Purpose: To evaluate the function of left ventricle and of ventricle's wall pumpi ng - 트리거 장치 필요- 운동 부하 전&후 영상 비교 - A trigger machine is requir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stress is induced - 99mTc-RBC, 99mTc- HSA   3. 심근관류 신티그라피 (Myocardial Perfucion Scintigraphy) - 목적: 관상동맥 질환 진단 - Purpose: To evaluate coronary artery disease - 트리거 장치/ 약물 사용- 도부타민, 디피리다몰, 아데노신 - A trigger machine/ drugs required- Dobutamine, Dipyridamole, Adenosine  - 201Tl-chloride, 99mTc-MIBI

신틸레이터 원리 How Scintillator works

신틸레이터 원리 How Scintillator Works 신틸레이터 구조 Structure of a scintillator - 신틸레이터: 방사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 - Scintillator: Converts radiation to light - 광도체: 신틸레이터에서 변환된 빛의 산란을 최소화 - Photocathode: Minimizes dispersion of light that was converted by scintillator    - 광전자증배관: 가시광선을 전자로 변환, 전자를 증폭 - PM tube: Converts light to electrons, amplifies them  PMT 신틸레이터 종류 Type of scintillators NaI(TI) Scintillator NaI(TI)- 감마선 측정/ Used for gamma detection  Lil(Eu)- 중성자 측정/ Used for neutron detection Zns(Ag)- 알파선 측정/ Used for alpha detection   액체 섬광체 / Liquid scintillator - 저에너지 베타선 측정/ Used for low-energy beta detection 

방사선사 국가고시 후기, 준비하는 법

방사선사 국가고시는 1교시, 2교시 3교시로 구성되어 있어요.  1교시) 방사선이론(90) + 의료관계법규(20) - 90분 2교시) 방사선응용(90) - 75분 3교시) 실기시험(50) - 50분 국시 준비 타임라인 국시에 관한 블로그나 영상들을 찾아보면 3개월 전부터만 공부를 시작해도 된다는 정보가 많더라구요. 하지만 그건 평소에 노트 정리를 잘했거나 기본기가 탄탄한 분들께만 해당되는 얘기인 것 같아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ㅎㅎ) 전 3학년 2학기가 끝난 후 겨울방학 때부터 1교시 정리를 하기 시작했어요. 아무래도 2,3교시 과목들은 최근에 배웠기 때문에 기억에 남지만 1교시는 2~3년 전에 배우는 과목들이라 미리 복습하는 것을 추천해요. 4학년 1학기 때도 몇 과목밖에 수강하지 않기 때문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이때는 2,3교시 과목들도 정리하는 것을 추천해요.  4학년 1학기가 끝난 뒤 여름방학 때는 보통 병원 실습에 나가게 되는데 이때 일반촬영, CT, MRI과 등에 가게 돼요. 제 경우에는 일반촬영, CT, MRI, 투시, 초음파, 혈관조영, 핵의학, 종양학과에 1주일씩 가게 되었어요. 매주 새로운 과에 가기 전 주말에 그 과목 정리한 내용을 복습하고 갔어요! 그리고 실습하면서 새로 배운 내용이나 중요하다고 느낀 내용은 틈틈이 다시 정리해 나갔어요. 8주동안 꾸준히 복습하고 시간 남을 때 예전 국시 문제들도 풀면서 난이도를 파악 했어요. 그렇게 실습이 끝날 때 쯤에는 웬만한 2,3교시 문제들은 다 풀 수 있게 되었어요.     4학년 2학기가 시작하면 국시까지 약 100일이 남게 돼요. 학교에서 보통 모의고사를 보게 됩니다. 이때부터는 여러 출판사의 기출문제와 모의고사를 풀면서 반복돼서 나오는 문제는 꼭 체크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 또한 노트 정리한 것에 추가합니다. 처음에는 모의고사 성적이 잘 안나올 수 있는데 갈수록 점수가 올라가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국시가 1주일 정도 남았을 때부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