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변이 비상  -  세계적으로 델타변이 급증, 백신율 높은 나라도 ↑   4차 대유행  -  급증 이유: 해외에서 변이 유입,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  -  델타 바이러스 비율이 점점 늘고 있음  델타변이 바이러스  -  인도 유래 바이러스  -  변이 바이러스: 염기 서열의 변화  -  감염력: 기존 바이러스 <알파 <델타  -  기존: 발열, 기침, 미각/후각 상실, 델타: 두통, 인후염, 콧물, 발열  -  두 가지 방안: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접종률 높이기 – 둘 다 어려움    악성변이가 우려  백신 예방 효과율  -  전파(거리두기)를 줄이고, 백신율을 높여야 됨 – 유행을 억제시키기 위해  -  백신의 본질적인 효과- 코로나에 걸려도 중환자가 되지 않게 막아주는 것  -  중환자를 막아주는 효과는 유지  -  코로나 감염 예방 효과율은 10% 떨어짐  추가 접종 (부스터 샷) 필요성  - 효과 유지, 변이 대응  독파감염- 백신 접종 이후 감염 - 감염 예방 효과가 떨어짐, 집단 면역 달성(70% 골고루 분포)이 어려움  기초 재생산지수 (1= 한 명이 한 명에게 전파)  -  간접으로 면역력 측정, 방역 수준 확인  집단면역  -  전파가 되더라도 사회의 질병 부담을 내려야 된다  -  접종, 거리두기 병행 필요    18세 미만  -  화이자 12세 이상 허가, 연령대 연구 더 필요  -  고3 수준에서 진행  목표  -  0 mortality – 나이 많은 사람들부터 접종  -  3분기 안에 2천...